별자리 썸네일형 리스트형 물고기자리에 대하여 물고기자리 물고기자리는 황도 12성좌 중 마지막 성좌인 제 12자리의 별자리입니다. 물고기자리가 가장 잘 보이는 시기는 11월 하순이에요. 이 별자리는 커다란 V자의 모습을 하고 형태이며, V자의 우측이 조금 좌측보다 조금 더 길게 뻗어 있습니다. 물고기자리는 별자리로서는 큰 편이이에요. 하지만 그 크기와는 다르게 물고기자리를 구성하는 별들은 결코 밝은 편이 아니랍니다. 물고기자리 중에서고 가장 밝은 별은 4등성이기 때문이지요. 그렇기 때문에 밤하늘에서 이 물고기자리를 발견하기는 상당히 어렵답니다. 성도에서는 하나의 끈으로 연결된 물고기 두 마리의 모습으로 그려집니다. 고대 바빌로니아에서는 끈으로 이어진 인어, 혹은 물고기로 된 제비로 그려지기도 했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단순히 '물고기'자리라고 부르지만.. 더보기 물병자리에 대하여 물병자리 물병자리는 황도 12성좌 중 제 11의 자리입니다. 이 별자리는 가을 무렵에 남쪽에서 중천 하는 별자리로 10월 하순에 가장 잘 보인답니다. 물병자리는 물병을 거꾸로 하여 들고 있는 소년의 모습으로 그려집니다. 소년이 들고 있는 물병에서는 물이 한도 끝도 없이 넘쳐흐르고 있고요. 이 물은 물병자리의 바로 아래쪽에 있는 남쪽물고기자리의 입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이라고 합니다. 물병자리를 이루는 별을 보면 사실 그렇게 밝은 별들은 아니에요. 오히려 가까이 있는 남쪽물고기자리를 이루는 별인 1등성의 포말하우트나, 독수리자리의 1등성 별인 알타이르가 훨씬 더 잘 보이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물병자리를 찾는다는 것이 결코 쉬운 것이 아니라고 해요. 하지만 고대 바빌로니아에서는 태양이 물병자리가 위치하는 장소를.. 더보기 염소자리에 대하여 염소자리 염소자리는 황도 12성좌 중 제 10의 자리에요. 가장 잘 보이는 시기는 9월 중순으로 초가을 무렵 남쪽 하늘에서 볼 수 있는 별자리에요. 역삼각형의 모양을 한 별자리인데 오랜 옛날부터 중요하게 생각되어 왔답니다. 염소자리를 구성하는 별은 그다지 밝지는 않아요. 그래서인지 조금 쓸쓸한 느낌을 주는 별자리인 것 같아요. “염소자리”라는 이름을 붙인 것은 칼데아 지방의 사람들이라고 해요. 칼데아는 현재 이라크 유프라테스 강 부근으로 천문학의 발상지라고 잘 알려져 있답니다. 당시에는 동쪽 지점에 염소자리가 있었지요. 물론, 현재는 세차운동으로 인해 궁수자리로 이동하고 있답니다. 남쪽까지 내려온 태양이 다시 북쪽으로 돌아가는 것으로 인해 칼데아 사람들은 이 별자리를 바위산을 오르는 염소에 비유했던 것이.. 더보기 사수자리에 대하여 사수자리 사수자리는 황도 12성좌 중 제 9의 자리랍니다. 사수자리는 9월 초순에 가장 잘 보이는 별자리로 여름부터 초가을 사이에 남쪽 하늘에서 볼 수 있는 여름별자리입니다. 사수자리는 반인반마의 켄타우로스족의 현자인 케이론이라고 합니다. 켄타우로스족은 활을 가지고 다니는 거칠면서도 야만적인 종족이었다고 해요. 하지만 현자인 케이론은 여느 켄타우로스족과는 달랐다고 합니다. 케이론은 신인 크로노스의 피를 이어받아 불사의 신체를 지녔을 뿐만 아니라, 탁월한 두뇌와 뛰어난 지식을 갖고 있었다고 해요. 거기다 켄타우로스족의 피도 섞였기에 활도 아주 잘 쐈지요. 다른 켄타우로스들과는 다른 모습이었기에 더욱 특별하지 않았을까 생각해요 반인반마인 것도 신기하지만 지혜와 천문학에도 뛰어나고, 활까지 잘 쏘는 케이론. .. 더보기 전갈자리에 대하여 전갈자리 전갈자리는 황도12성좌 중 제 8의 자리입니다. 7월 하순에 가장 잘 보이는 별자리로 여름의 대표적인 별자리에요. 남쪽으로 중천에서 거대한 S자를 그리는 것이 전갈자리이지요. 전갈자리의 중앙에는 진홍색으로 빛나는 별이 있습니다. 안타레스라는 이름의 1등성 별이에요. 이 별은 붉은색이라 그런지 여름 밤하늘에서 특별히 눈길을 끄는 별이랍니다. 별은 적색일수록 표면의 온도가 낮다고 해요. 그런데 1등성이면서도 이렇게 눈에 뜨일 정도의 붉은색의 별이라니 신기하기도 하고 아직까지 보지 못해서 이번 여름에 꼭 보고 싶은 별이네요!! 이렇게 붉은색으로 보이는 별은 안타레스 외에도 몇 개 더 있지만, 안타레스처럼 아름답게 보이는 별은 그리 많지 않다고 합니다. 안타레스라는 1등성 별의 이름 역시도 원래는 '안.. 더보기 천칭자리에 대하여 천칭자리 천칭자리는 황도12성좌 중 제 7의 자리랍니다. 천칭자리는 초여름부터 남쪽 하늘에서 보기 시작해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시기는 7월 하순이에요. 천칭자리에는 3등성 이하의 별뿐이에요. 처녀자리와 전갈자리 사이에 있어서인지 아주 오랜 옛날부터 신들의 제왕인 제우스와 법의 여신 테미스의 딸이자, 정의의 여신인 아스트라에아가 들고 있는 선악을 재는 저울(천칭)이라고도 하지요. 혹은 이를 가리켜 전갈자리의 집게발이라고도 한답니다. 아주 옛날에는 추분점이 천칭자리에 있었다고 해요. 그래서 이 별자리에 밤낮의 길이를 재는 천칭의 이름과 형태가 주어졌을 거라고 많은 사람들이 생각한다고 합니다. 현재의 추분점은 세차운동으로 인해 처녀자리로 이동하고 있어요. 또한, 천칭자리는 농민들에게 파종 시기를 알려주는 대.. 더보기 처녀자리에 대하여 처녀자리 처녀자리는 황도12성좌 중에서 제 6의 자리인 별자리랍니다. 6월 초순, 초 여름에 가장 잘 보이는 별자리로 늦은 봄부터 시작해서 초여름 사이에 남쪽 하늘에서 볼 수 있는 별자리랍니다. 처녀자리는 두 번째로 큰 별자리이기 때문에 옛날부터 중요하게 생각되어왔다고 합니다. 처녀자리는 1등성인 스피카를 제외하면 별로 눈에 띄지 않는 별들로 이루어져 있어요. 천문도를 살펴보면 스피카의 모습은 날개가 돋아 있는 처녀의 모습으로 그려진답니다. 그리고 1등성인 스피카가 위치한 곳은 보리 이삭을 들고 있는 처녀의 왼손 부분이에요. 또한 라틴어로 스피카는 '곡물'을 의미한답니다. 처녀자리의 신화 신들이 왕인 제우스는 본처인 헤라 몰래 풍요의 여신인 데메테르와의 사이에서 페르세포네라는 이름의 딸을 두었답니다. 하.. 더보기 사자자리에 대하여 사자자리 사자자리는 황도12성좌 중에서 제5자리에 해당하는 별자리에요. 4월 하순에 가장 잘 보이는데, 봄 무렵 남쪽 하늘에서 볼 수 있는 별자리가 바로 사자자리에요. 보통 사자에게 백수의 왕이라고 부르는데요. 그 별명처럼 사자자리는 봄 하늘 정 중앙에 우아하게 엎드려 누운 사자의 모습으로 그려져요. 사자자리를 구성하는 별도 작은왕이라는 뜻의 1등성 레굴루스를 비롯해 밝은 별이 수없이 많답니다. 참고로, 레굴루스에 작은왕이라는 이름을 붙인 사람은 지동설로 유명한 코페르니쿠스에요. 사자자리의 머리 부분에 있는 일곱 개의 별을 이으면, 국자모양의 북두칠성이 되는데요. 레굴루스를 아래 점으로 북두칠성을 볼 수 있어요. 동양에서는 북두칠성이라고 부르지만, 서양에서는 '사자의 큰 낫'이라고 해요. 이 사자자리의 .. 더보기 게자리에 대하여 게자리 게자리는 황도 12성좌 중에서 제 4의 자리랍니다. 3월 하순에 가장 잘 보이는 별자리로 초봄에는 쌍둥이자리와 사자자리 사이에서 볼 수 있는 별자리에요. 3월 하순에 가장 잘 보이는 별자리라고 하지만 실상 눈에 잘 띄지 않는 별자리라고 하네요. 그래서 황도 12성좌 중 가장 어두운 별자리로 알려져 있어요. 게자리의 중앙과 게의 등판에 해당하는 사각형 부분에는 페레세페라는 이름의 성단이 있어요. 하지만 이 성단을 기구가 없이 육안으로 볼 때에는 그저 뿌연색으로 퍼져있ㄴ슨 얼룩으로만 보인답니다. 이것이 성단인 것을 알기 전에는 그저 뿌연 구름으로만 생각을 하고 구름으로 불렀다고 해요. 그리스에서는 기원전에 인간의 영혼이 천상과 인간세계를 왕래하기 위해 있는 통로 라고 생각을 했다고 합니다. 구름과 통.. 더보기 쌍둥이자리에 대하여 쌍둥이 자리 쌍둥이자리는 황도 12성좌 중 제 3의 자리에 해당하는 별자리에요. 황소자리의 동쪽에서 확인이 가능하며, 겨울부터 봄사이에 보이는 별자리로 3월 초순에 가장 잘 보인답니다. 쌍둥이 중 왼쪽에는 1등성인 플룩스가 있고, 오른쪽에는 2등성인 카스토르가 있어요. 그래서 쌍둥이 자리를 확인할 때면 덩치 좋은 쌍둥이가 서로 어깨동무를 하고 잇는 것 처럼 보인답니다. 이 쌍둥이 자리는 그리스는 물론이고 이집트와 바빌로니아, 그리고 페니키아 등에서도 형제 혹은 쌍둥이, 사이좋은 친구로 여겨지고 있어요. 우리나라에서는 1등성인 플룩스와 2등성인 카슽토르를 형제별이라고 부르기도 한답니다. 쌍둥이자리는 이와 관련된 신화와 많은 이야기가 있어요. 쌍둥이자리 신화 스파르타의 왕비인 레다는 백조의 모습을 한 제우스.. 더보기 이전 1 2 다음